- '세종 홍보' 굿즈 한글빵 원산지 허위로 몰락
- "개발 판매 지원했더니 돌아온 건... 흙탕물"
 |
수입산 농산물로 제조후 세종산으로 판매해 논란이 된 '한글빵'. 세종시 제공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지원장 강희중, 이하 농관원)은 "그리스산·중국산 복숭아와 외국산·국산 쌀을 주원료로 빵을 제조하고, 주원료의 원산지를 ‘세종시’로 허위 표시하여 판매한 업체 대표 A씨를 불구속 송치했다"고 4일 밝혔다.
농관원이 해당 빵류 제조업체와 원료 구입처 등을 압수수색한 결과, A씨는 2023년 2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약 1년 9개월간 그리스산·중국산 복숭아와 외국산·국산 쌀을 주원료로 빵을 제조하여 소비자,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에 6억 2천만 원 상당(위반 제품 248,448개)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A씨는 단속을 피하기 위해 세종산 복숭아와 쌀을 소량 구입하여 업체에 진열하고, 위반 물량을 축소하기 위해 거래처에 자료를 축소 요청하는 등 범행을 계획하고 증거를 인멸하려 한 정황도 포착됐다.
또한, A씨는 지역 농산물을 사용한다는 허위 신청서를 작성하여 각종 국고·지자체 예산 지원 사업에 선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세종시는 ‘거짓말 한글빵’에 좌불안석이다.
재료 원산지를 속인 업체가 검찰 수사까지 받게 되면서 ‘한글문화도시’를 지향하는 세종시의 각종 한글문화 사업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세종시는 한글빵이 도시의 정체성과도 연결된다고 판단, ‘세종시 굿즈’로 육성하기 위해 제품 개발, 판매 확대 지원에 예산을 투입한 바 있다.
세종시는 “해당 업체가 원산지를 속여 세종시의 이미지는 물론, 고향사랑기부제에도 큰 타격을 준 것으로 판단했다”며 “관련 규정 검토를 통해 세종시농업기술센터에서 지급한 보조금 환수를 위한 행정 절차를 밟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세종시가 해당 업체에 반환 명령을 내린 보조금 규모는 약 4,000만 원이다. 1차 납부 기한을 지키지 않아 2차 납부 통보가 이뤄진 상태다. 보조금의 2차 반환 기한은 이달 말이다.
앞서 A업체는 '100% 세종 쌀과 조치원 복숭아로 만든 건강한 쌀 빵'이라며 세종시 특색에 맞게 한글 모양의 기념품 빵을 만들었다. 세종시는 한글빵의 고급화를 위한 기술 개발 등에 약 9,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또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한글문화도시 세종’을 알리는 데 유용한 도구로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A업체는 작년 9월 농관원의 원산지 위반 단속에 적발돼 행정 처분을 받았다.
이에 세종시는 즉각 답례품 목록에서 내렸다. 이후 사태는 잠잠해지는 듯했지만, 최근 농관원이 해당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논란이 재점화됐다. 해당 업체는 2억 원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가 보조금까지 환수에 나선 데에는 이번 일을 ‘해프닝’으로 넘겼다간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민간업자의 양심을 믿고 지원한 것인데, 되레 세종시 이미지를 깎았다”며 “앞으로 추진할 한글문화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한글문화도시로 선정된 뒤 캐릭터 사업 등 세종대왕과 관련된 다양한 기념품(굿즈) 필요성을 느끼던 터에 이번 사건이 다시 불거졌다”며 “앞으로의 사업은 철저하게 검증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